현재 legacy device driver를 조합하여 자체으로 broadband streaming 모듈을 구현 및 제어, broadcast에 대한 제어하는 구조에서, 최근에 널리 쓰이는 framework로 변경하는 내용을 추진중에 좀 알아두어야 해서리..
GStreamer는 다음에서 확인. Source code download 및 document.
http://gstreamer.freedesktop.org/
최근에 release된 version은gstreamer-0.10.32.tar.gz
설치를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(ubuntu 설치후에 기본적인 개발환경은 vim, cscopde만 갖추어놓은 상태여서 아래 항목들이 설치가 안되어있었던듯). GStreamer 자체의 dependency가 아니라 다른 tool과도 연관된 녀석들인데.. 머 일단 다 필요한 사항이니 기억해 두자.
m4(http://www.gnu.org/software/m4/):UNIX macro processor
Bison(http://www.gnu.org/software/bison/): General purpose parser generator(compiler 구현을 할적에 봤었던 기억이...)
flex(http://flex.sourceforge.net/): The Fast Lexical Analyzer(Adobe사의 flex도 open source 형태로 제공되어 잘못하면 헷갈릴 수도 ㅎㅎ)
gettext(http://www.gnu.org/software/gettext/): multi-lingual message를 제공해주는 framework.
GLib(http://www.gtk.org/)
libxml2(http://xmlsoft.org/index.html)
위의 tool들을 전부 설치한후에 gstreamer 설치 완료.
source 분석을 위해서 global로 tag 만들어 봐야지(cscope로 그냥 할까...)
GStreamer는 다음에서 확인. Source code download 및 document.
http://gstreamer.freedesktop.org/
최근에 release된 version은gstreamer-0.10.32.tar.gz
설치를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(ubuntu 설치후에 기본적인 개발환경은 vim, cscopde만 갖추어놓은 상태여서 아래 항목들이 설치가 안되어있었던듯). GStreamer 자체의 dependency가 아니라 다른 tool과도 연관된 녀석들인데.. 머 일단 다 필요한 사항이니 기억해 두자.
m4(http://www.gnu.org/software/m4/):UNIX macro processor
Bison(http://www.gnu.org/software/bison/): General purpose parser generator(compiler 구현을 할적에 봤었던 기억이...)
flex(http://flex.sourceforge.net/): The Fast Lexical Analyzer(Adobe사의 flex도 open source 형태로 제공되어 잘못하면 헷갈릴 수도 ㅎㅎ)
gettext(http://www.gnu.org/software/gettext/): multi-lingual message를 제공해주는 framework.
GLib(http://www.gtk.org/)
libxml2(http://xmlsoft.org/index.html)
위의 tool들을 전부 설치한후에 gstreamer 설치 완료.
source 분석을 위해서 global로 tag 만들어 봐야지(cscope로 그냥 할까...)